본문
지속가능한 지하수저류댐 최적 유지.운영 기술개발 | |
목표 | (1) 수문 및 지질 특성과 수요.공급 조건을 고려한 지하수저류댐의 최적 운영 및 입체적 모니터링 기술 개발 (2) 지하수저류댐(차수벽 및 취수시설)의 기능 진단 및 유지.관리 개발 - 지하수저류댐 수량 및 수질 모니터링 기술 개발 - Digital twin 기술을 적용한 지하수저류댐 저류량 및 개발 가능량 평가 기숦 개발 - 지하수저류댐 상류부 주민과 공존이 가능한 수질 관리 기술 개발 - 지하수저류댐 세부 시설(차수벽, 취수시설)의 기능 진단 기술 개발 |
기대효과 |
(1) 과학. 기술적 측면 - IoT 기반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 도입으로 지하수 저류댐의 수위, 유량, 수질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예측할 수 있어 정확한 데이터 기반의 분석이 가능 - 기존의 수자원 관리 방식에서 벗어나 저류댐에서 지하수-지표수 상호작용을 개념 모델화 하여 관리 - 지속 가능한 수자원 관리를 통해 극한 기후 조건에서도 적정 공급량을 유지하여 장기적인 자원으로 활용 - IoT- 인공신경망 Digital twin 모델을 기반으로 한 지하수저류댐 프로그램을 통해 수위 및 수질 변화를 예측하고, 최적의 운영 전략을 제시 - 자동시스템을 통해 지하수저류댐 운영 비용을 절감하고 시각적 데이터를 제공하여 관리자에게 직관적인 관리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 (2) 경제.사회적 측면 - 기존에 없던 새로운 접근의 기술로서 새로운 정책으로 구현이 가능하고, 문제 발생 시 현장에서 신속히 대응 할 수 있는 기술로서 해당 분야의 새로운 산업으로 정착이 기대됨 - Digital twin 기반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기술 개발로 기존 운영과 비교하여 운영 비용 절감 및 장기적인 유지 관리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- 지역사회에 안정적인 물 공급을 보장하여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키고, 적정 공급량을 통해 물부족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기대 - IoT기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과 관련된 데이터 분석 전문가 및 기술 운영 인력의 수요가 증가할 수 있으며, 신산업 분야 창출에 따른 전문 인력(석박사)등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- 운영 및 관리 방안을 매뉴얼화 하여 재해 및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.복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 (3) 사회,환경적 측면 - 효율적인 운영 및 유지 관리 방안 개발로 무분별한 자원 낭비를 예방하고 안정적인 공급량을 유지하여 자원의 안정성 및 지속 가능성을 보장할 것으로 기대 - 기존의 관리 방식과 비교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오염 확인 시 오염원을 저영향개발(LID) 시설로 저감시켜 안전한 물 공급 및 수자원 보호 가능 -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의 가뭄 및 홍수를 해결할 수 있는 효율적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여 지역사회 수자원문제 예방 가능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