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
부지특이성을 고려한 지중환경 조사평가예측 기술 현장실증 | |
목표 | 오염부지 특성화조사와 오염거동 모델 구축을 통한 최적의 현장개념모델(CSM)을 도출하고 이를 이용한 기술적·규제적 통합관리방안 제시 ○ 오염부지 확보 및 부지 특성화를 위한 조사계획 수립 ○ 오염부지 특성화를 위한 조사·평가·예측 기술 적용기법 도출 ○ 부지 오염도 및 특성화(지중 매체 특성 등)를 위한 단위 기술 통합 적용 ○ 부지 특성화 기반 오염부지 3D 수리지질모델 구축 ○ 3D 수리지질모델 기반 3D 오염물질 거동 모델 구축 ○ 오염물질 거동 모델을 활용한 오염부지 내 오염물질 거동 예측 평가 ○ 오염 정화 시나리오 별 오염물질의 시공간적 분포 및 정화효율 예측·평가 및 향상방안 제시 ○ 부지특성화 및 오염물질 거동 평가 기반 오염부지 현장개념모델(Conceptual Site Model, CSM) 수립 ○ CSM 기반 오염부지 통합관리방안 수립 ○ CSM 기반 오염부지의 기술적·규제적 관리 방안 제시 |
기대효과 | (1) 과학·기술적 측면 ○ 오염부지복원 등의 사업을 수행시, 지중환경내 오염 현황의 평가, 오염의 이동경로 예측, 지중 매체와의 반응을 통한 오염의 거동 예측을 위해 필수적인 지중환경의 부지특성에 관한 정확한 평가에 활용될 수 있는 지중환경 특성화 요소 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○ 지중환경 특성화를 위한 요소 기술과 국내 지중환경에 적합한 데이터 베이스 및 부지특성화 프로토콜이 확보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, 이는 지중환경관리를 위한 기술의 고도화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됨 ○ 통합형 수치거동모델은 지중환경 내 지질매체와 오염물질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정석적/정량적인 평가를 가능하게 하며, 이는 지중환경 내 물질 순환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넓히고 정확한 오염물질의 확산 및 거동 예측기술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○ 다양한 지질매체와 오염물질의 독자적인 DB구축은 차후 다양한 지질환경에 적합한 통합모델링기술 개발의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됨 ○ 공간자료를 통합 관리하고자 개발한 DB에 산재해 있는 지중환경 관련 공간자료 표준화 및 변환을 통하여, 지중 환경내 오염의 거동에 관련된 양질의 지중환경 자료를 확보하여 관련 정책결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○ 오염부지 전주기 관리를 고려한 CSM 구축 및 개선 사례 확보 - 지중환경 오염 확인 전인 오염 우려지역을 대상으로 한 사전적 부지관리기술 - 오염확인 후 단계적으로 수행되는 오염부지 조사를 통한 부지특성의 단계적 정밀화 - 이전 조사를 포함한 부지 오염 조사 자료의 통합적 관리를 위한 정보 관리 기술 - 조사에 대한 적절성 평가 및 후속 조사 설계를 위한 평가 기술 ○ 오염부지의 조사 단계를 고려한 다양한 규모의 CSM 구축 방법의 개발 - 사전조사 단계의 공개정보를 활용한 지역규모의 CSM - 기존 오염 조사 및 정밀 조사 자료를 활용한 공단 규모의 CSM - 정화설계를 위한 오염은 규모의 정밀 CSM
(2) 경제·사회적 측면 ○ 수치거동 모델링을 통한 효과적인 시·공간적 오염범위의 예측기술은 오염물질의 차단 및 정화 기술부분에 효율적인 기여를 하게 되며, 막대한 사후환경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됨 ○ 수치거동모델의 결과의 시작적인 자료 제시가 용이성과 정량적 평가는 대중들로 하여금 지중환경오염에 관한 관심을 고조시킬수 있으며, 이는 지중환경의 기술발전과 인적자원 필요성에 대한 여론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됨 ○ 지하안전관리에 관련된 지하안전 영향평가의 수단으로도 활용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○ 오염부지 복원, 지하수 토양 정화에 체계적인 계획 수립 및 검증이 가능해짐에 따라 다양한 정화기술의 적용이 시도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관련 산업의 발전 및 활성화가 예상됨 ○ 이러한 산업의 발달은 지중환경 특성화 및 오염경로 예측 관련 전문가에 대한 수요를 발생시켜 관련 산업의 일자리 창출이 기대됨 (3) 사회적·환경적 측면 ○ 다양한 지질매체와 오염물질의 DB와 수치거동모델 기술을 이용하여 생태계 보존을 위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제시가 용이하며 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친환경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음 ○ 오염부지에 대한 정확한 진단은 효율적 정화기법 도출을 통해 친환경적인 빠르고 안전한 복원이 가능하도록 유도함 |